소유격 관계 대명사 |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소유격 관계 대명사 –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giarevietna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giarevietna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엄배영]기초 영문법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395회 및 좋아요 32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주격, 목적격에 이어 이번에는 소유격 관계대명사 입니다. 관계대명사 자체가 소유격의 위치에 놓여 소유격의 기능을 하는 경우입니다. 엄배영이 쉽게 설명합니다. #관계대명사 #소유격관계대명사 #관계사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of which 이해, 연습문제 – zzubinibu

소유격 관계대명사란 있는 그대로 이해한다면, 두개 문장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소유격 대명사로서 역할을 하는 단어를 뜻합니다.

+ 더 읽기

Source: zzubinibu.tistory.com

Date Published: 11/7/2021

View: 1839

[문법]부록.소유격관계대명사, whose만(?) 기억하자! – 학말영

먼저, ‘표’의 내용을 확인하고 시작합시다! 사람인 경우는 ‘누구의’로 해석하는 의문사 ‘whose’를 사용한다. *’whose = who의 소유격’이라고 설명하기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hakmalyoung.tistory.com

Date Published: 9/8/2022

View: 68

소유격 관계대명사 – 빡쌤의 행복 교실

알아 보겠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말 그대로. 관계대명사 앞의 명사, 즉. 선행사의 소유로 되어 있는. 뭔가를 설명하는 문장 …

+ 여기에 보기

Source: pparkssamhappy.tistory.com

Date Published: 3/3/2022

View: 3837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영어 문장 늘리기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1. I found a book. Its cover is red. 첫 번째 문장의 a book과 두 번째 문장의 Its는 같은 대상입니다. · 2. I know a girl.

+ 여기에 표시

Source: ensen5.tistory.com

Date Published: 1/7/2022

View: 4663

[RC][문법] 관계대명사 – 소유격 – 디노문경

관계대명사 주격과 관계대명사 목적격의 경우 기억해야 할 것들이 많지만, 관계대명사 소유격은 오직 1가지 규칙만 기억하면 된다! -> 아래에서 확인!

+ 여기에 보기

Source: serendipity24.tistory.com

Date Published: 1/23/2021

View: 8997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또는 of which – 한다리건너영어

오늘은 토익에서 한 번씩 정답으로 출제되는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배워볼게요! ​ of which 는 잘 나오진 않지만 어떻게 쓰이는지만 알아봅시다.

+ 여기에 보기

Source: freeenglishschool.tistory.com

Date Published: 2/15/2022

View: 957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소유격 관계 대명사

  • Author: [엄배영]기초 영문법
  • Views: 조회수 7,395회
  • Likes: 좋아요 324개
  • Date Published: 2021. 10.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gUqcAbKbBU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of which 이해, 연습문제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of which 이해, 연습문제

소유격 관계대명사란 있는 그대로 이해한다면, 두개 문장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소유격 대명사로서 역할을 하는 단어를 뜻합니다. 이것을 이용해 만약 두개의 문장을 연결해야 한다면, 공통인 내용을 찾고, 그 것 중 소유격 (대명사)까지 찾았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됩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이해할 때 먼저 유의할 점 두 가지를 짚고 넘어 가겠습니다.

첫 번째, 소유격은 항상 명사가 뒤를 따릅니다. 이 점은 예문을 보시면 이해 하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whose는 두개의 문장의 공통된 내용이 사람이든 사물이든,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of which 는 공통 내용이 사람인 경우 쓸 수 없습니다.

whose 를 쓰는 경우를 먼저 예문과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두개의 문장에서 공통된 내용을 먼저 찾습니다. ( 보통 무생물의 소유격은 of – 형태를 취합니다)

She has a rabbit. Its tail is short.

That is the magazine. My baby tore the cover of the magazine.

The girl made fun of me. Her house is next to mine.

2. 공통된 내용 중 명사가 포함된 문장을 우선 써준다(공통의 표현까지)

She has a rabbit

That is the magazine

The girl

3. 소유격 관계대명사 와 그 뒤를 따라는 명사를 써준다.

She has a rabbit whose tail

That is the magazine whose cover

​​

“of-“의 뜻이 “-의” 이기 때문에 “잡지의 표지”, 즉 “잡지의, of the magazine”를 따르는 명사는 the cover 가 됩니다.

그러나 문법적으로 소유격은 the 와 함께 쓸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whose the cover 아닌 whose cover 가 올바른 것입니다.

The girl whose house

선행사 : whose 앞에 오는 a rabbit, the magazine, The girl 은 선행사라고 불립니다.

4. 두 번째 문장의 남아 있는 내용 전부를 소유격(대)명사를 따라 써 줍니다.

She has a rabbit whose tail is short.

그녀는 (그것의) 꼬리가 짧은 토끼 한마리를 가지고 있다.

That is the magazine whose cover my baby tore.

그것이 (그것의) 표지를 나의 아기가 찢어버린 그 잡지다. 뒤에 있던 명사 cover 도 당연히 whose 를 따라 옵니다.

The girl whose house is next to mine made fun of me.

(그녀의)집이 내 옆집인 그 여자애가 나를 놀렸다. (옆집 여자애가 나를 놀렸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of which

​​

That is the magazine. My baby tore the cover of the book.

원리는 같습니다 단지 whose 자리에 of which 가 오게 됩니다.

That is the magazine of which the cover my baby tore.

또한 of which 를 쓸 때의 차이점은 “of” 로 인해 “the” 도 남게 된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 of which 와 the cover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쓰는 것입니다.

That is the book the cover of which I tore yesterday.

소유격 관계대명사 연습문제

1. He is a man. His name is Handricks.

2. Look at the tall tower. The top of the tall tower is painted yellow.

3. We know the young man. We bought his old car.

4. This was the house. The front door of the house was broken.

5. The council passed the law. The main purpose of it was raising taxes.

정답

1. He is a man whose name is Handricks.

2. Look at the tall tower of which the top ( = whose top, the top of which ) is painted yellow.

3. We know the young man whose old car we bought.

4. This was the house of which the front door was broken.

5. The council passed the law whose main purpose was raising taxes.

[문법]부록.소유격관계대명사, whose만(?) 기억하자!

학말영은 관계대명사를 설명하면서 고민이 생겼다.

소유격관계대명사를 꼭 설명해야 할까?

이유는 단순하다. 배우는 정성에 비해 효율성은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부록’이란 제목으로, 홀가분한(?)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었습니다.

사람 먼저, ‘표’의 내용을 확인하고 시작합시다! 사람인 경우는 ‘누구의’로 해석하는 의문사 ‘whose’를 사용한다. *’whose = who의 소유격’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샘플1> I have a friend. 나는 친구가 한 명 있다. His hobby is painting. 그의 취미는 그리기다. 위의 문장은 ‘소유격관계대명사절’로 바꾸는 방법이 아주 쉽다.

I have a friend. + His hobby is painting. → I have a friend whose hobby is painting. (해석) 나는 취미가 그리기인 친구를 갖고 있다.

‘문장’을 붙이고, ‘his→whose’로 바꾸면 그만이다.

<샘플2>

My friend is an actor.내 친구는 배우다. His hobby is painting. 그의 취미는 그리기다.

‘샘플1’이 너무 쉬운 관계로 문장을 살짝 바꿔보았다. 이렇게 하면 첫 문장의 ‘주어’에 붙여 넣을 수 있다.

My friend is an actor. + His hobby is painting. → My friend whose hobby is painting is an actor. 취미가 그리기인 내 친구는 배우다.

*이제부터가 문제입니다.

사람이 아닌 것 <샘플3> I have a dog. 나는 개를 한 마리 갖고 있다(기른다). Its color is black. 그것의 색깔은 검은색이다. *it의 소유격:its

‘사람이 아닐 때’는 문장이 괜히 복잡해진다.

I have a dog. + Its color is black. → I have a dog whose color is black. = I have a dog of which color is black. = I have a dog the color of which is black.

※특징

1. of which를 쓰는 이유

: ‘its color→the color of it’으로 바꿔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유격+명사 = the, a, this 등 + 명사 + of + 소유대명사 ex) my friend = a friend of mine of which의 뜻 = of +소유대명사 → of +’which(의문대명사)‘로 바꿀 수 있는 건 당연한 이치다.

2. the color of which

: of which를 뒤에 쓰는 경우는 앞에 ‘the’를 붙여야 한다.

→ 1번의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가 됨!

* 지금부터 소유격에 대한 부담을 확 줄여드리겠습니다!

↓↓<주의>학말영의 아주 주관적인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whose만 기억한다 (사람인 경우) 학말영은 ‘샘플2’에 해당하는 경우만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다른 예들은 배움의 노력에 비해 활용도가 거의 없다.

<샘플1>

I have a friend. + His hobby is painting.

→ I have a friend whose hobby is painting.

‘관계대명사절’로 바꾸기 ‘전과 후’를 비교해보자.

문장을 그대로 붙였을 뿐이다. ‘his→whose’로 괜히 바꿀 필요가 없다.

→ ‘2개의 문장’으로 쓰는 것과 비교했을 때, ‘효율성’은 전혀 없다.

<샘플3>

I have a dog. + Its color is black.

→ I have a dog whose color is black.

‘whose(누구의)’는 사람에게 쓰는 말이다. ‘개나 소’에게는 쓸 수 없다. 위의 문장을 보면, 자꾸 이상하다는 생각만 든다. 학말영이 강사였던 시절, 너무 궁금해 ‘캐나다인 강사’에게 질문을 한 적도 있다.

원어민조차 이상하다고 느낀다. 문법적으로는 맞겠지만, 실제로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판단한다.

* ‘캐나다인’이라서 그럴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많이 쓸 수도 있겠죠?

→ ‘학말영’의 판단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of which’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그냥 쓰기가 싫다!

→ 복잡하기 때문이다.

<샘플2>→학말영이 활용하는 유일한 방법

My friend is an actor. + His hobby is painting. → My friend whose hobby is painting is an actor.

이런 문장은 꽤나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문장의 모양도 ‘주격, 목적격’의 형태와 유사해 거부감이 없다!

정리 1. 소유격관계대명사 사람 – whose 사람이 아닌 것 – whose, of which

2. 시험용 & ‘글’에서

→ ‘학말영’이 예측 불가능하다. 모두 알고 있는 게 좋다.

3. 회화용(주관적인 관점에서)

→‘사람’이고, ‘주어’로 쓰인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태만 유용하다.

ex) My friend whose hobby is painting is an actor.

4. 학말영은(또 다시 주관적 관점에서)

→ ‘주격과 목적격’에 비해 ‘소유격’은 활용도가 상당히 낮다고 판단한다.

p.s)

주관적인 의견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부록’이었습니다.

‘기본개념’은 꼭 알아둡시다.

‘활용도’는?

‘학말영‘은 잘 쓰지 않지만, 누군가는 많이 활용할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소유격 관계대명사

반응형

(3) 소유격 관계대명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대명사’ 세 번 째 시간,

소유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말 그대로

관계대명사 앞의 명사, 즉

선행사의 소유로 되어 있는

뭔가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이어질 때

연결 시키는 관계대명사입니다.

예문을 보시겠습니다.

ex) I’d like to buy the house.

: 난 저 집을 사고 싶어

The roof of the house is blue.

: 그 집의 지붕은 파란색이야.

이 두 문장을 우리말로 하나로

묶으면

‘난 지붕이 파란색인 그 집을 사고 싶어’

이렇게 되겠지요?

그럼 얘를 영어 한 문장으로 하면

I’d like to buy the house of which

roof is blue.

이렇게 묶여지겠습니다.

다시 말해서, 선행사가 사물이면

of which 로 연결하는 것이죠.

우리가 이렇게 보면 house of which

다음에 roof 이렇게 명사가 또

나오니 이상하게 보이지만

which 는 엄연히 앞의 house 를

받는 것이므로 of which 만 따지면

‘그 집의’ 이렇게 해석이 되죠.

근데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이리

복잡하면 머리가 좀 아프겠죠?

다행히 다른 종류가 또 있죠.

바로 ‘whose’ 입니다.

선행사가 사람이든 동물이든

사물이든 상관없이 다 쓰이죠.

그럼 위의 of which 는 뭐하라

언급하냐 하시겠지만,

who 가 목적격 whom 대체로

쓰인다고 저번에 말씀 드렸듯이

예전에는 선행사가 사물이면

of which 를 써야 했지만

현대 영어로 넘어오면서

whose 가 선행사가 사물이라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ex) My girl friend is a nurse

in a general hospital.

; 내 여자 친구는 종합병원의

간호사입니다.

Her mother is a doctor.

; 그녀의 어머니는 의사이다.

우리 말 한 문장으로 묶으면

‘ 어머니가 의사이신

내 여자 친구는

종합병원의 간호사이다’

그러면 얘를 영어로 묶어볼까요?

My girl friend whose mother is a doctor

is a nurse in a general

hospital.

다른 예를 또 들어 볼게요.

ex) I love his new song.

; 난 그의 신곡이 너무 좋아

Its melody is very relaxing.

; 그 멜로디가 너무 맘을 편하게 해 줘.

하나로 묶으면….

‘멜로디가 맘을 편하게 해 주는

그의 신곡이 너무 좋아’

다시 얘를 영어로 묶어 보면…

I love his new song whose

melody is very relaxing.

정리 해 보면…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두 가지,

whose 와 of which.

whose : 선행사가 사람, 동물, 사물 오케이

of which : 사람 빼고.

어쨋든 얘네들의 해석은

그 앞의 명사에 ‘~의’

이렇게 소유격의 뜻으로

해석 하면 되겠습니다.

자, 여기서 또 정리 하는

퀴즈 내겠습니다.

다음을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이어서 한 문장으로 해 주세요.

답은 저~~~~~~ 아래요.

ex) He doesn’t like that kind of girls.

Their attitude for elderly people

is not good.

지금까지 주격, 목적격, 소유격

관계대명사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관계대명사 얘기가 여기서 끝은

절대 아니죠.

영어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다음 시간에는 우리가 주의해야 할

관계대명사의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다 들 수고 많으셨어요 ~~~~~~

답) He doesn’t like that kind of girls

whose attitude for elderly people

is not good.

반응형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반응형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1.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2. 선행사에 상관없이 whose를 씁니다. whose+N의 형태입니다.

3. 관계대명사의 마디 안은 불완전합니다. 소유격이 없습니다.

4. whose+N= of which+the 명사= the 명사+of which

(요즘에는 of which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선행사 구분 없이 주로 whose를 씁니다.)

예를 볼까요?

1. I found a book. Its cover is red.

첫 번째 문장의 a book과 두 번째 문장의 Its는 같은 대상입니다.

여기서 대명사 Its를 지우면, 뒤 문장에서 소유격이 사라집니다. (its는 it의 소유격입니다.) 그럼 뒤 문장이 소유격이 없는 불완전한 형태가 되지요. 그러면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가 들어옵니다.

이제 관계대명사로 바뀐 문장을 볼까요?

I found a book whose cover is red. (나는 표지가 빨간 책을 찾았다.)

→ I found a book of which the cover is red. (whose+N = of which+the 명사)

→ I found a book the cover of which is red. (of which+the 명사 = the 명사+of which)

2. I know a girl. Her name is Jenny.

→ I know a girl whose name is Jenny. (나는 이름이 제니인 소녀를 안다.)

whose name is Jenny는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소유격 Her이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두 문장이 한 문장이 될 때, 소유격 Her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관계대명사 whose가 들어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는 생략하지 않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girl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ose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a girl whose name is Jenny

소녀/ 이름이 제니인

3. A widow is a woman. Her spouse has died.

→ A widow is a woman whose spouse has died. (과부란 배우자가 죽은 여자를 말한다.)

whose spouse has died는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 spouse 배우자)

마디 안에 소유격 Her이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두 문장이 한 문장이 될 때, 소유격 Her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whose가 들어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는 생략하지 않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woman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ose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a woman whose spouse has died

여성/ 배우자가 죽은

반응형

4. I went to the art museum. Its roof is painted blue.

→ I went to the art museum whose roof is painted blue. (나는 지붕이 파란색으로 칠해진 미술관에 갔다.)

whose roof is painted blue는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 roof 지붕)

마디 안에 소유격 Its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두 문장이 한 문장이 될 때, 소유격 Its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whose가 들어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는 생략하지 않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the art museum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ose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the art museum whose roof is painted blue

미술관/ 지붕이 파란색으로 칠해진

5. There are people. Their ideas are different from mine.

→ There are people whose ideas are different from mine.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있다.)

whose ideas are different 이하는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 different 다른)

마디 안에 소유격 Their이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두 문장이 한 문장이 될 때, 소유격 Their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whose가 들어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는 생략하지 않습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people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ose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people whose ideas are different from mine

사람들/ 생각이 나와 다른

다른 예를 볼까요?

● an old man whose clothing is very thin (옷이 매우 얇은 노인) * thin 얇은

● some trees whose health is already weak (이미 건강이 좋지 않은 몇몇 나무들) * health 건강 weak 약한

● American citizens whose ancestors were Irish (선조가 아일랜드인이었던 미국 시민들) * citizen 시민 ancestor 조상, 선조

● a butcher whose job is to prepare and sell meat (고기를 준비하고 파는 일을 하는 정육점 주인) * butcher 정육점 주인 prepare 준비하다

● the paintings whose colours are water-based pigments (수성 물감으로 색을 낸 그림들) * colour 색 pigment 물감

● a retired opera singer whose fame spread far and wide (명성이 널리 퍼진 은퇴한 오페라 가수) * retired 은퇴한 fame 명성

● a solid whose atoms are arranged in a repeating pattern (원자가 반복 패턴으로 배열된 고체) * atom 원자 arrange 배열하다

● one of the first settlers whose daughter was named “Belle” (딸을 “벨”이라고 이름 붙인 최초의 정착민 중 한 명) * settler 정착민

관련 문법입니다.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대명사 who/that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that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who(m), which, that)

반응형

[RC][문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주격과 관계대명사 목적격의 경우 기억해야 할 것들이 많지만,

관계대명사 소유격은 오직 1가지 규칙만 기억하면 된다! -> 아래에서 확인!

관계 대명사의 기초

관계대명사 = 접속사(두 문장을 합쳐주는 역할) + 대명사(대명사의 역할)

관계대명사 소유격 = 접속사(두 문장을 합쳐주는 역할) + 소유격 대명사(소유격 대명사의 역할)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형태

명사 + 관계대명사 소유격 + 무관사 명사~

* 소유격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와야 하므로 관계대명사 소유격 뒤에도 명사(무관사)가 온다.

*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주격, 목적격과 달리 완전한 문장이 온다.

※ 무관사 명사( 관사(a, an, the)가 붙지않은 명사 )

예시

I know a woman whose sister is a famous movie star.

출제 유형

명사 선행사 + _______________ + 무관사 명사 + 동사 ~

* 빈칸이 명사 선행사와 무관사 명사 사이에 위치하고 보기에 관계대명사가 2개 이상 포함되어 출제된다.

풀이 방법

1. 빈칸 앞에 명사 선행사가 있는지 확인하기.

2. 빈칸 뒤 명사가 무관사 명사인지 확인하기.

3. 빈칸 뒤 이어지는 문장이 완전한 문장인지 확인하기.

반드시 기억해야할 규칙!

다른 관계대명사와 달리 선행사가 사람이든 사물이든 whose를 사용한다. 사물일 때 of which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출제 빈도가 극히 낮다.

실전 문제1

JC Soap appeals to many young customers ___________ tastes are modern and practical.

(A) that + 불완전한 문장

(B) each

(C) whose

(D) who + 불완전한 문장

풀이

1. 보기를 보고 관계사 문제인 것을 확인 -> each 소거

2. 빈칸 앞에 명사 선행사 many young customers가 있는 것을 확인

3. 빈칸 뒤에 무관사 명사 tastes가 있는 것을 확인

4. 빈칸 뒤 문장이 주어 + 동사 + 보어, 완전한 2형식 문장임을 확인

실전 문제2

Miles Corporation has determined to merge with Aloha Electronics, __________ products are widely acknowledged by the public as the most reliable digital devices in North America.

(A) who

(B) which

(C) that

(D) whose

풀이

* 빈칸 뒤의 문장이 완전한 문장이므로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A) who와 (B) which는 올 수 없다.

* 그리고, that은 콤마 뒤에 위치할 수 없으므로 that도 소거한다.

* 따라서, 빈칸에는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오는 whose가 들어가야 한다.

* 여기서 whose는 선행사 Aloha Electronics를 받는 대명사임과 동시에 Aloha Electronics과 products 사이의 소유관계를 나타낸다.

출처: 산타 토익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또는 of which

오늘은 토익에서 한 번씩 정답으로 출제되는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배워볼게요!

of which 는 잘 나오진 않지만 어떻게 쓰이는지만 알아봅시다.

소유격 관계대명사도 역시 이름대로 “관계대명사”에 해당합니다.

관계대명사의 역할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는 것 이었죠!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는 “접속사 + 소유격”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문으로 살펴볼게요!!

먼저 두 문장을 나열 해볼게요.

1번 문장: There is a boy.

-> 소년이 있다.

2번 문장: His personality is good.

-> 그의 성격은 좋다.

접속사 and 를 이용하여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 There is a boy and his personality is good.

소년이 있다 그리고 그의 성격은 좋다.

이번엔 관계대명사 whose (접속사 + 소유격)을 사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There is a boy whose(and his) personality is good.

간단하죠??

그런데 문제 풀 때 절대 조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1. whose 뒤의 명사에는 절대로 관사(a, an, the 등)이 붙지 않습니다!!!!!!

-> 그 이유는 “소유격”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my a boy, my the boy 등은 있을 수 없죠 오직 my boy만 가능합니다!!

더불어 대명사 she, he 등도 올 수 없겠죠? my he, her he 같이 소유격 뒤에는 “대명사가 올 수 없습니다!”

소유격이 생략 되었기 때문에 절대 명사 앞에 관사가 올 수 없다는 점!!!!

2.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과 달리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소유격은 명사를 꾸며주기 위한 형용사 이기 때문에 뒤에 완전한 문장이 와야하죠!!

예문 2개 더 나열해 드릴게요!

We have an employee whose phone is an I phone.

우리는 아이폰을 가지고 있는 직원을 보유한다.

-> phone은 셀 수 있는 명사임에도 불구하고 “관사”가 없죠!

We have a mountain whose view is great.

우리(동네에는) 전망이 좋은 산이 있습니다.

먼저 which “사물”만 선행사가 될 수 있습니다.

I love the book whose content is history.

= I love the book of which the content is history.

= I love the book the content of which is history.

선생님~ 그럼 of which 가 답인지, whose 가 답인지 어떻게 알아요??

of which 는 “반드시” 관사가 들어가야합니다.

관사가 없으면 whose 가 답입니다. 관사가 있으면 of which 가 답입니다!!

토익에서 90%이상 of which와 whose 중 답을 고르라고 한다면 whose 가 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즐겨 찾기 부탁드립니다.

꾸준히 영어정보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소유격 관계 대명사

다음은 Bing에서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 관계 대명사
  • 소유격 관계 대명사
  • 관계사
  • 엄배영
  • basic english in Korean
  • English grammar in Korean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YouTube에서 소유격 관계 대명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 | 소유격 관계 대명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비상 중 3 영어 교과서 Pdf | [리디아선생님]비상교육 교과서 중학영어3 2015개정 1과 본문듣기 Mp3 쉐도잉 중3 2522 좋은 평가 이 답변

Leave a Comment